"고지혈증 약 스타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암 예방에도 효과"
서울아산병원 연구…스타틴 장기 복용 시 간암·간섬유화 발생↓
고지혈증 치료제로 쓰이는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간염이나 지방간 등 간질환을 오래 앓은 환자들에게 간암 발생 위험을 낮추는 새로운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열렸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기 교수와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레이먼드 정 교수 연구팀은 만성 간질환 환자가 스타틴을 장기 복용한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간암 발생과 간 섬유화 진행이 현저히 감소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임상 데이터를 토대로 2000년부터 2023년 사이에 만성 간질환을 진단받은 환자 1만6천501명의 스타틴 복용에 따른 간암 및 간부전 발생률, 간 섬유화 진행 여부를 분석했다.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는 3천610명, 복용하지 않은 환자는 1만2천891명이다.
그 결과 10년 내 간암 발생률은 스타틴 복용군에서 3.8%로, 비복용군의 8.0% 대비 크게 낮았다.
간 기능 악화를 의미하는 간부전 발생률도 스타틴 복용군은 10.6%였으나, 비복용군은 19.5%에 달했다.
스타틴을 오래 복용할수록 효과적이라는 사실도 확인됐다.
누적 600일 이상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는 간암과 간부전 위험이 비복용군에 비해 각각 4.5%와 10.4% 감소했다.
간 섬유화의 진행도 늦췄다. 스타틴 복용군에서는 초기 간 섬유화 환자의 14.7%만 10년 내 고위험군으로 진행했지만, 비복용군에서는 20.0%가 고위험군이 됐다.
스타틴 복용군과 비복용군의 간암 및 간부전 발생률 [서울아산병원 제공. 연합뉴스 사진]
최종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장기간의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암, 간부전 예방과 간 섬유화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최 교수는 "그동안 만성 간질환 환자에 스타틴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잘못된 통념이 오래 이어져 왔다"며 "오히려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스타틴을 사용하는 것이 환자의 장기 예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사협회지 내과학저널'(JAMA Internal Medicine)에 게재됐다.
최종기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만성 간질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2025.04.30. [서울아산병원 제공. 연합뉴스 사진]
[기사발신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