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보건의료 노동자 76% "산재 발생 가장 큰 원인은 '인력 부족'"
  • 정민호
  • 등록 2025-04-29 07:56:05
기사수정

보건의료 노동자 76% "산재 발생 가장 큰 원인은 '인력 부족'"


보건의료노조 실태조사…15.6%가 최근 2년 내 업무상 사고·재해 겪어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간호사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간호사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사진]


보건의료 노동자들은 보건의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 등을 꼽았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28일 산재 노동자의 날을 맞아 지난 1월 조합원 4만4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 중 노동안전 실태 관련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보건의료 노동자의 15.6%는 최근 2년 이내 업무상 사고나 재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유형으로는 근·골격계 질환과 수면장애, 넘어짐·부딪침 등이 많았다.


업무상 사고나 재해의 원인으로는 '인력 부족'이라는 응답이 76.3%(복수응답 가능)로 최다였고, '수면장애 및 피로 누적'을 꼽은 응답자도 68.6%에 달했다. 이어 '예비 교육이나 업무 숙지 부족'(43.2%), '제도적 대책 부족'(37.4%), '불합리한 조직 문화'(33.7%) 등이 주된 원인으로 꼽혔다.


감정노동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55.1%가 최근 1년 이내 폭언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폭행과 성폭력을 경험한 노동자도 각각 11.5%, 7.2%였다. 이러한 피해를 겪었을 때 다수(60∼70%)의 노동자들은 그냥 '참고 넘겼다'고 했다.


'번아웃'(소진)을 호소하는 보건의료 노동자도 많았다.


응답자의 68.0%가 육체적으로, 60.9%가 정신적으로 지쳐 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왜 일하냐고 스스로에게 물으면 월급을 받기 위해서라는 답이 나온다'는 데에 79.0%가 동의했다.


직군별로 보면 간호직에서 육체적(75.9%), 정신적(67.8%) 소진을 호소하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보건의료노조는 "인력 부족, 수면장애 및 피로 누적이 산재 주요 원인으로 꼽힌 것은 노동집약적이고 야간교대근무가 주요 업무 형태인 보건의료산업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제도화를 통한 보건의료인력 확충 ▲ 보건의료산업부터 주4일제 도입 ▲ 의사인력 확충 등을 요구했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0
유니세프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