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내 79조원 의약품 위탁개발생산시장 열려…기업 지원해야"
'연매출 1조' 글로벌 의약품 특허 잇달아 만료…주요국 시장 선점 박차
한경협 "통합 고용 세액공제 연장·통관절차 간소화 등 지원 필요"
국내 1위 CDMO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4공장 전경)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연합뉴스 사진]
향후 5년 내 여러 글로벌 블록버스터(연 매출 1조원 이상)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돼 수십조원 규모의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이 열리는 가운데 한국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3일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 세계 매출액 상위 20개 바이오·합성의약품 중 12개의 특허(미국 기준)가 2030년 이전에 만료되며 최대 79조원 규모의 CDMO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들 의약품 가운데 매출액이 295억달러(약 43조 2천억원)로 가장 많은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는 2028년 미국에서 특허가 만료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삼성바이오에피스 및 셀트리온, 미국의 암젠, 스위스의 산도스 등 국내외 기업들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한 상황이다.
한경협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미국과 일본, 대만 등 주요국은 타 업종의 투자를 받거나 정부 지원을 받아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주요 CDMO 기업 현황 [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사진]
미국에서는 인공지능(AI)이 신약 개발 주기를 단축할 뿐만 아니라 신약후보 물질 발견 등에서 성과를 내면서 정보기술(IT) 기업인 구글·엔비디아 등의 바이오산업 투자가 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19년 '2030년 최첨단 바이오경제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 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CDMO 사업을 더욱 확대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CDMO 사업에 지원되는 총사업비는 3천220억엔(약 3조1천500억원) 규모에 달한다.
대만 정부의 경우 2023년 5월 미국 바이오의약품 제조회사인 내셔널 리질리언스와의 합작 투자사(정부 지분 약 57%)인 TBMC를 설립했다. 공기업으로 처음 설립된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업체 대만 TSMC의 성공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한경협은 CDMO가 임상 1상 단계부터 매출 실현까지 평균 5년 이상이 걸리는 특성상, 안정적인 인력 충원을 통한 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말까지인 통합 고용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 최소 10년 이상 연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원료 의약품이나 원료 물질 수입 시 통관 절차를 간소화해 원료 조달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시설의 제조위탁을 활용해 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켜 기업의 사업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은 한국경제의 미래 핵심 성장동력 중 하나"라며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함께 중국 CDMO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한 미국 생물 보안법 통과 여부 등 국제환경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